文學,藝術/아트칼럼

파리에서 성공한, 지독히 외로웠던 집념의 한국인

바람아님 2024. 6. 22. 01:25

조선일보  2024. 6. 22. 00:40

[아무튼, 주말]
[김인혜의 살롱 드 경성]
서양식으로 동양 정신 그려낸
‘문자추상’의 거장 화가 남관

“이제 와서 외국에 나오면 무슨 수가 생기겠니. 예술이 또한 무어 대단한 거겠니. 나도 모를 일이다. 그저 가슴에 무슨 원한 같은 게 맺혀 있을 뿐이다. 뭐니 뭐니 해도, 끼니를 거르고 죽을 먹더라도 같이 사는 것이 얼마나 좋을까.” 화가 김환기가 뉴욕에 있을 때, 고국의 딸에게 보낸 편지다. 그가 한국 미술로 승부를 걸어 보겠다고 파리와 뉴욕에 가 있는 동안, 한국에는 노모와 어린 세 딸이 있었다. 자책의 순간이 얼마나 많았을까.

그런 괴로움 속에서도 외국에서 성공하고 말겠다는 의지를 불태운 이 세대 예술가들. 우리 역사와 문화가 무시받고 짓밟힌 시대를 경험한 세대. 이들에게 한국과 한국인의 우수성을 만방에 떨치고 싶다는 열망은, 나 그리고 나라의 자존심 문제였다. 아무도 강요하지 않았지만 스스로 짊어진 소명을 안고, 전쟁 후 수많은 화가가 파리로 몰려갔다. 성공을 거둔 이는 많지 않았다. 심지어 김환기조차도. 파리를 떠나며 김환기가 “자네는 파리에서 뼈를 묻게”라고 당부한 화가가 있었다. 남관(1911~1990)이다. 파리에서 14년을 체류하며, 결국 성공해 돌아온 화가. 그러나 실로 파란만장했던 화가.

남관은 1911년 경북 청송에서 태어났다. 청송보통학교 졸업 후 대구고보(현 경북고)로 진학하려 했으나 1920년대 학생 동맹휴학 사건으로 사정이 여의치 않자,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와세다중학에 입학했다. 학교 성적은 좋았으나 사람들과 어울려 하는 대부분의 일이 체질에 맞지 않았다. 혼자 할 수 있는 일을 찾다가 미술에 관심을 갖게 됐다. 반 고흐의 화집을 보고 감명받아 화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광기에 가까운 고흐의 예술적 도취는 남관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태평양미술학교를 다녔고, 일본인 교수 화실에서 사숙하며 인정받는 화가로 성장했다.

남관이 죽기 전 남긴 마지막 말은 “환기, 환기”였다. 남관을 가장 잘 이해했던 유일한 친구. 김환기를 찾아 남관도 그렇게 떠났다.


https://v.daum.net/v/20240622004026038
파리에서 성공한, 지독히 외로웠던 집념의 한국인

 

파리에서 성공한, 지독히 외로웠던 집념의 한국인

“이제 와서 외국에 나오면 무슨 수가 생기겠니. 예술이 또한 무어 대단한 거겠니. 나도 모를 일이다. 그저 가슴에 무슨 원한 같은 게 맺혀 있을 뿐이다. 뭐니 뭐니 해도, 끼니를 거르고 죽을 먹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