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2020.06.09. 03:20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위안부 단체 성금 유용 의혹은 한국에선 일본과 역사적 문제를 해결하기가 왜 그토록 어려울까 되묻게 된다. 역사적 정의를 추구하는 운동가는 그 스스로가 오히려 문제 해결의 장애물이 되는 것은 아닐까? 확실한 건 지난 2015년 한국 정부가 일본과 위안부 합의에 도달했을 때 운동가들은 이에 고무되기보다는 경계했다. 이는 합의문이 결점투성이였기 때문일까? 아니면 20여 년간 그들의 인생에 깊은 의미를 주고, 윤미향 사례에서 보듯 생계를 제공해왔던 어떤 것이 끝날 수 있음을 봤기 때문일까? 진실은 '예' 또는 '아니요'로 답할 수 없는 훨씬 복잡한 일일 것이다. 나는 도덕적 집단인 운동가들이 그렇게 이기적인 동기에 의식적으로 이끌려가지는 않았으리라 생각한다. 그보다는 그런 경계심이 한일 위안부 합의는 친일파의 속임수이고, 이는 영웅적으로 물리쳐야 한다는 심리적 확신을 불러일으켰을 가능성이 크다.
기사 전문(全文)은 아래 링크로 해당기사와 연결됩니다
|
한국이 통일될 때까지 일본은 계속 적일 수밖에 없다. 실제로 일본과 마찰을 일으키는 일은 남북을 하나로 뭉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에서 정치적 좌우는 둘 중 어떤 민족국가에 경외심을 갖느냐로 갈린다. 중앙집권 대 자유시장, 친기업 대 친노동이냐가 아니다. 일본과 관계를 개선하라는 요구가 그토록 자주 묵살당하는 것도 이렇게 설명된다. |
마이클 브린 前 서울외신기자클럽 회장·'한국, 한국인' 저자
'時事論壇 > 時流談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물상] 그레이트 디커플링 (0) | 2020.06.12 |
---|---|
[태평로] '탈원전 황당극'의 주연과 조연들 (0) | 2020.06.11 |
홍콩 사상최대 위기, 왜 한국은 홍콩을 대체할 수 없을까? (0) | 2020.06.09 |
[최보식 칼럼] 현 정권보다 지금의 통합당이 더 두렵다 (0) | 2020.06.08 |
[한삼희의 환경칼럼] '기술 부족주의'에 갇힌 그린 뉴딜 (0) | 2020.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