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橫設竪設

[일사일언] 질문하며 배우기

바람아님 2015. 11. 20. 10:16

(출처-조선일보 2015.11.20 진주현 미 국방부 DPAA 연구원·인류학 박사)


진주현 미 국방부 DPAA 연구원·인류학 박사어린 시절 독일에서 초등학교를 다녔다. 
선생님과 아이들이 대화하는 식으로 진행되는 수업 시간은 질문과 대답, 토론이 끊이지 않았다. 
한국으로 돌아와 초등학교 5학년으로 편입을 했다. 
선생님의 분수 덧셈 설명이 잘 이해되지 않아 독일에서 하던 대로 손을 번쩍 들었다. 
선생님은 모른 척했고 아이들은 날 이상한 눈으로 바라보았다. 
선생님이 나를 못 봤나 싶어 "질문 있습니다"라고 외쳤다. 
그때 선생님의 호통 소리가 아직도 생생하다. 
"이해가 안 가면 창피한 줄 알고 가만히 있어야지 어디 큰 소리로 질문을 해!" 
그렇게 무안을 당한 뒤 대학을 마칠 때까지 나는 어떤 질문도 하지 않았다.

미국에서 대학원을 다닐 때였다. 지도교수가 나를 부르더니 왜 수업 시간에 질문을 안 하느냐고 물었다. 
질문을 안 한다는 것은 수업에 관심이 없다는 이야기라고 했다. 
엄청난 양의 영어 교재와 밤새 씨름하며 공부하던 난 참 억울했다. 
'수학 시간' 사건 이후 모르는 게 생기면 적어두었다가 나중에 책을 찾아보곤 했다. 
그래도 모르겠으면 '시험에 안 나오겠지' 하며 덮어버렸다. 
미국에서도 하던 대로 했을 뿐인데 졸지에 공부 안 하는 학생이 돼버린 것이다.

교수님은 내게 미국 학생들은 질문을 하면서 배운다고 했다. 
질문하고 토론하다 보면 몰랐던 지식이 체계적으로 정리될 뿐 아니라 다른 학생들 질문을 통해 
내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까지도 알 수 있는 기회가 된다고 했다. 
교수님은 내게 수업 시간마다 무조건 질문 한 개씩 하라고 했다.

[일사일언] 질문하며 배우기
십여 년간 붙어 있던 입이 쉽게 떨어질 리 없었다. 
행여 바보 같은 질문을 하면 어쩌나 싶어 그럴싸해 보이는 질문을 만드느라 머리를 쥐어짰다 . 
그게 버거워서 어느 날부터는 자포자기 심정으로 정말 모르는 걸 묻기 시작했다. 
그랬더니 점차 적응이 되었고 어느덧 나도 질문을 통해 더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다. 
모르는 게 생기면 먼저 찾아본 뒤 묻는 것도 나쁘진 않지만 단순한 질의응답을 통해 깨치게 되는 것도 많다. 
남 눈치 보지 않고 의견을 자유롭게 나누는 분위기가 한국 학교에도 뿌리내렸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