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2017.06.30 어수웅 기자, 편집=박은혜)
소설가 김훈의 책장은 어떨까. 잠 들기 전에 읽는 책, 눈물을 흘리게 한 책 등 어디에도 알려지지 않은 김훈의 '사적인' 서가로 가보자. |
[나의 사적인 서가] 소설가 김훈
대외 공개용 말고, 조금 더 내밀한 책 고백은 어떨까. ‘나의 사적인 서가’를 시작한다.
당신이 예상하지 못했던 독서 리스트. 첫 회는 최근 ‘남한산성’ 100쇄 특별 한정판을 찍은 소설가 김훈(69)이다.
1. 당신의 잠자리를 함께하는 책은
“요가는 인간의 육신과 영혼 사이의 경계를 허물어서 새로운 생명의 지평을 연다.
살아있음은 동사가 아니라 형용사의 세계이다.
엘리아데의 ‘요가’는 요가가 생명 속에서 작동하는 실상을 보여준다.
요가는 수련과 실천을 통해서 도달할 수 있는 삶의 경지이고, 요가에 관한 책을
읽는 것은 요가가 아니다. 요가뿐 아니라 다른 많은 일도 그러하다.
그러므로 사람들아, 책을 읽더라도 너무 책, 책 하지 마라. 잠자리에서는 책을
읽지 않는 것이 좋다. 고요히 누워서 정신을 회음에 집중하고 몸이 텅 빔으로
충만할 때 경건한 마음으로 잠을 모셔라.”
2. 최근 읽은 책 중 당신을 울게 만든 책
“김수영 산문집은 눈물 없이는 읽을 수 없다.
그는 머리통으로 바위를 들이받듯이 글을 써나간다. 그는 자유의 창공을
날아가는 꿈의 힘으로 악세(惡世)의 뻘밭을 허우적거리며 기어간다.
그의 가난, 그의 짜증, 울분, 신경질, 자기 학대, 그의 술주정, 그의 구공탄 가스중독, 병들어서 죽은 그의 닭들,
포즈와 속물근성에 대한 그의 증오…. 그가 자기검열 없이 자신을 드러내 보일 때, 읽는 나는 신나고 또 눈물 난다.
50년 전에 그의 번역 원고료를 떼어먹은 출판업자들을 나는 지금도 미워한다.
그는 자유가 부재하는 시대의 고통을 절규함으로써 자유를 이행했고, 그 자유의 길을 ‘온몸으로’ 밀고 나갔다.”
지난날 문을 연 김수영문학관에서 김시인의 동생 김수명씨가 시인을 회상하며 문학관의 의미를 이야기했다.
/이진한 기자
3. 최근 읽은 책 중에서 웃게 만든 책은
“김수영 산문집을 읽다가 나는 혼자서 낄낄낄 웃는다. 그는 치열한 생활인이었다.
그는 생계비를 걱정하고, 양계에 들어가는 비용을 걱정하고, 아이들의 학비를 걱정하고, 학업 성적이 떨어진 아이를 때려주고,
‘구걸 번역’ 일거리를 구하러 거리로 나선다. 그는 현실의 벽에 부딪혀 번번이 주저앉지만, 몽상이나 서정 속으로 달아나지
않는다. 그는 끝까지 맞선다. 주저앉은 그가 그 놀라운 정직성으로 자신의 내면을 고백하는 대목에서, 나는 낄낄 웃는다.
그럴 때, 그는 천진하고, 겁이 없다. 나는 웃기는 웃지만, 웃고 나면 슬프고 분하다.
서울 도봉구 방학동 김수영문학관에 가면 그의 체취의 편린들을 볼 수 있다.”
4. 당신이 받은 책 선물 중 잊을 수 없는 책
“정수일 선생이 주신 ‘실크로드사전’과 ‘해상실크로드사전’은 늘 가까이 있다.
수천년 전에 멸망한 대도시들, 범선을 몰아서 미지의 대양을 건너가는 대항해 시대의 사내들, 수많은 항구, 오아시스,
시장 거리, 성벽, 전쟁, 별자리, 등대, 운하, 영웅, 노예, 언어, 문자, 선박, 지도, 무기, 유적, 뱃길 등속들이
이 책 속에 기술되어 있다.
인간은 쉴 새 없이 이동하고 쉴 새 없이 뒤섞이며 살아왔다. 아마도 실크로드를 개척한 힘은 이윤이었을 것이다.
문명과 교류는 그 이윤 위에 얹혀서 따라간 것인데, 교역과 약탈은 선명히 구분되지 않는다.
화려했던 도시들이 불타고 제국이 멸망해도, 그것들은 증발하지 않고, 문명의 역사 속에서 습합되고 공유된다.
이 책은 과학자의 책인 동시에 몽상가의 책이다.
나는 이 책을 읽을 때, 오래전에 나의 DNA 속에서 지워진 유목적 본능의 아우성을 듣는다.”
5. 죄책감을 느낄지 모르지만 남몰래 즐기는, 길티 플레저(guilty pleasure)는
“나와 내 또래 남자들은 ‘삼국지’를 너무 많이 읽어서 이 모양이 아닌가
싶을 때가 있다. 고등학교 때는 모여 앉으면 ‘삼국지’ 얘기만 했고,
‘삼국지’를 모르는 애들은 왕따 되었다.
연의 ‘삼국지’에 나오는 영웅호걸은 대부분이 군사 깡패다(공명만 빼고).
그들은 의리를 명분으로 작당하고, 배신하고 합치고, 옆구리 찌르고,
속고 속이고, 속는 척해주면서 뒤통수 친다.
그들은 전쟁과 살육이라는 그 비극적 현실 자체를 반성하지 않는다.
그들은 싸움만 알았지 미래관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국지’는 재미있다.
‘삼국지’가 동양 남자들의 정신에 미친 해악은 작지 않다.
그걸 알면서도 또 ‘삼국지’를 읽는다.”
내 ‘길티 플레저’는 군사 깡패 ‘삼국지’
정신에 미친 해악 적지 않지만 알면서도 재미있어
잠자리 책? 책, 책 하지 마라 고요히 누워서 회음에 집중하라
6. 당신 책장에 있다면 사람들이 놀랄 책
“‘중장비의 구조와 기능’과 ‘경호 사격술’은 나에게도 낯설다.
내가 이런 책을 구해서 읽는 이유를 나는 잘 설명할 수가 없다. 이 책은 언어의 세계에 속하지 않는다.
아마도 나는 이 책이 처해 있는 세계로 들어가고 싶어 하는 것 같다.
중장비는 포클레인과 불도저, 페이로더 같은 것인데, 땅이나 구조물을 갈아엎어서 개조하는 기계다.
이것들은 삽날을 주무기로 삼고 있는데, 인간의 손, 두더지의 앞발, 멧돼지의 코와 비슷하다.
‘경호 사격술’은 고난도 권총 사격술이다. 그 조준선 위에서 생사는 명멸한다.
군대에서 사격을 배울 때, 무기는 언어도단의 세계라는 걸 알았다.
나는 사물과 사물이 맞닿는 접촉면에 관심이 있다.”
<< 게시자 추가 자료 >>
김수영 전집 2 산문 저자 김수영/ 민음사/ 2003/ 394 p 810.81-ㄱ789ㄱ2-2/ [정독]어문학족보실(2동1층)/ [강서]3층 |
책소개 <풀>, <눈> 등으로 잘 알려진 김수영의 전집. 이미 1981년에 나왔던 전집을 새로 개정해 출간됐다. 제1권은 김수영의 시를 실었으며 제2권은 각 매체에 발표한 그의 산문들을 시대순으로 실었다. 한국문학사에 커다란 획을 긋고 간 김수영 시인의 날카로운 언어와 자유에 대한 절규, 그리고 치열한 시 정신을 엿볼 수 있다. (제2권)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
저자소개 - 김수영 1921년 서울 종로에서 태어났다. 1935년부터 1941년까지 선린상고(선린인터넷고등학교)에 재학했고, 성적은 우수했으며특히 주산과 미술에 재질을 보였다. 거쳐 동경 상대에 입학했으나 1943년 조선 학병 징집을 피해 귀국하여 만주로 이주하였으며 심영 등과 연극을 하다가 1946년 문학으로 전향했다. 1946년 연희전문 영문과 4년에 편입했고, 1947년 예술부락에 「묘정(廟庭)의 노래」를 발표하면서 등단한 후 김경린, 박인환과 함께 시집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을 출간하였다. 한국전쟁 때 서울을 점령한 북한군에 징집되어 참전했다가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1952년 석방되었다. 이후 부산, 대구에서 통역관 및 선린상고 영어교사 등으로 일했고, 잡지사와 신문사를 전전하며 시작과 번역에 전념하였다. 1948~1959년 사이에 발표했던 시를 모아 1959년에 시집『달나라의 장난』(춘조사)을 간행하여 제1회 시협상을 받았고, 에머슨의 논문집 『20세기 문학평론』을 비롯하여 『카뮈의 사상과 문학』, 『현대문학의 영역』 등을 번역한 바 있다. 작가는 한국의 대표적 참여 시인으로 평가 받고 있으며 초기에는 현대문명과 도시생활을 비판하는 시를 주로 쓰다가 4.19 혁명을 기점으로 정권의 탄압과 압제에 맞서 적극적으로 부정과 타협하지 않는 정신을 강조하는 작품들을 썼다. 평론가 김훈은 평론가 김현은 시인 김수영에 대하여 "1930년대 이후 서정주·박목월 등에서 볼 수 있었던 재래적 서정의 틀과 김춘수 등에서 보이던 내면의식 추구의 경향에서 벗어나 시의 난삽성을 깊이 있게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던 공로자"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1968년 6월 15일 밤 귀가길에 집 근처에서 버스에 치어 머리를 다쳤고, 의식을 잃은 채 적십자병원에서 응급치료를 받았으나 끝내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1969년에 사망 1주기를 맞아 도봉산에 시비가 건립되었고, 민음사에서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김수영문학상'을 제정하여 매년 수상하고 있다. 2001년 10월 금관문화훈장이 사후에 수여되었다. [예스24 제공] |
실크로드 사전 = The cyclopedia of Silk road 정수일 편저/ 창비/ 2013/ 1089 p 903-ㅈ418ㅅ/ [강서]2층 인문사회자연과학실 | 해상 실크로드 사전 = cyclopedia of sea silk road 정수일 편저/ 창비/ 2014 909-ㅈ418ㅎ/ [정독]인사자실(2동2층) |
'人文,社會科學 > 책·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주의의 정원/ 광신자 치유 (0) | 2017.07.07 |
---|---|
베테랑 경제전문가의 '미래 금융위기' 경고 (0) | 2017.07.06 |
[당신의 리스트] 영화평론가·탐서가 이동진의 이름만으로 무조건 사는 작가 5 (0) | 2017.07.04 |
[이코노 서가(書架)] 디지털 시대… 로봇 기자가 날 밀어내려해 (0) | 2017.07.03 |
[북인터뷰] "다가오는 금융 붕괴…지금이 금 사야할 때" 금융 전문가 제임스 리카즈 (0) | 2017.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