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일사일언] 낭만과 로망

바람아님 2017. 10. 17. 08:03
(조선일보 2017.10.17 신상목 기리야마본진 대표)

신상목 기리야마본진 대표·전 주일대사관 1등서기관·'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일본사' 저자신상목 기리야마본진 대표·전 주일대사관 1등서기관·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일본사' 저자

'내로남불'이라는 말이 유행이다. '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의 줄임말로 이중 잣대나 위선을 꼬집는 말이다.
여기서 멋진 사랑의 대명사인 '로맨스'는 중세 유럽의 문학 장르인 '로망(roman)'에서 유래했다.
중세 유럽인들은 (엄숙한 설교나 딱딱한 고전에서 벗어나) 영웅들의 세속적인 욕망과 모험이 펼쳐지는
로망에 푹 빠졌고, 용맹한 기사가 절세의 미인과 만나 운명적인 사랑을 나누는 로망스를 동경하였다.

이러한 달콤한 판타지를 갈구하고 동경하는 심상이 '로맨틱(romantic)'이고, 로맨틱한 정서를 담은 그림·음악·문학 등의
예술 사조가 '로맨티시즘(romanticism)'이다. 서양의 예술사조는 사실주의(Realism), 인상주의(Impressionism),
고전주의(Classicism), 추상주의(Abstractionism) 등으로 번역되는데, 로맨티시즘은 '낭만주의'로 번역된다.

낭만주의는 메이지시대 일본의 소설가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가 로맨티시즘의 적당한 번역어가 없어 새로이 만들어
사용한 것에서 유래한다. 이 번역이 조금은 특별한 것이, 한자어 '浪漫'의 일본어 발음은 '로망(ロマン)'이다.
낭만(즉 로망)은 일본어에서는 발음과 어의가 절묘하게 맞아떨어지는 번역인 것이다.
사실 한국어 '낭만'은 일본어 '浪漫(로망)'의 뉘앙스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다.

[일사일언] 낭만과 로망

로망에 뿌리를 둔 '로맨틱'의 심리는 그리스·로마시대 이래 유럽 각 지역의 신화와 설화를 모티브로 하여 유럽적 맥락에서
형성된 정서이다. 동양에는 낯선 정서이고, 따라서 그에 딱 들어맞는 일본의 (또는 한국의) 고유어가 존재하기도 어렵다.
그 낯선 심리의 정체를 조금이라도 본래의 어감에 접근시키기 위해 음감(音感)까지도 고려한 소세키의 섬세함이
'로망'이라는 절묘한 신조어를 일본어 사전에 더했고, 그 말이 다시 한국어 사전에 '낭만'으로 옮겨왔다.

내로남불도 재미있는 신조어이지만, 낭만의 탄생과 같이 '지적 낭만'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말들로 우리의 언어생활이
더욱 풍성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신상목 (기리야마본진 대표·전 주일대사관 1등서기관)의 글 목록


[일사일언] 니카라과 외교관의 진심

[일사일언] 수건 안 주는 日 목욕탕

[일사일언] 스키야키와 비빔밥


[일사일언] 스님의 강의
1996년 외무고시에 합격하고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교육받을 때였다. 실무 교육과 교양 교육이 번갈아

진행되는데, 한 날은 정릉의 모 사찰 주지스님이 강사로 초빙되었다. 입교생들이 ...(조선일보 2017. 9. 11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11/2017091100062.html


[일사일언] 內閣과 캐비닛
정부 핵심 관료들의 모임을 내각(內閣)이라고 한다. 영어의 캐비닛(cabinet)을 번역한 것이다. 캐비닛은 캐빈

(cabin)과 같은 어원의 단어로, '사적인 작은 공간(방)'을 ...(조선일보 2017. 9. 4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04/2017090400130.html


[일사일언] 公衆의 시대
... 정도는 약과인 모양이다. '노키즈 존' 논란, 난폭 운전, 지하철 백태, 막말, 갑질 등 공공장소에서의 무질서,

례, 비매너 목격담들이 연일 언론과 SNS를 타고 흐른다.나는 근대 시민사회의 ...(조선일보 2017. 8. 28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28/2017082800117.html


[일사일언] 을사오적과 중국의 五賊
주일대사관에 근무할 때 '민단 오적'이란 말이 나온 적 있다. 민단에 대한 정부 보조금 삭감 ...

차에 민단 관계자들이 정부 시책 협조를 촉구하던 대사관 관계자를 그렇게 부른 것이다. 70년대를 풍미한 ...

(조선일보 2017. 8. 21월)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21/2017082100060.html


[일사일언] 無常과 미묘

[일사일언] 피망 남기면 안 돼! (조선일보 2017. 8.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