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2023. 11. 25. 08:00
[WEEKLY BIZ] 낸시 폴브레 美 애머스트大 명예교수 인터뷰
“한국 남성은 가정 생활을 사치로 여긴다”
“한국의 젊은 여성들이 무급이고 조건도 열악한 돌봄 노동, 그리고 가정 밖에서의 (사회활동 참여) 기회가 제한되는 데 대한 반발로 일종의 출산 파업(birth strike)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에서 ‘돌봄 경제학’ 선구자로 꼽히는 낸시 폴브레 매사추세츠 애머스트대 명예교수는 WEEKLY BIZ 서면 인터뷰에서 0.7명 수준까지 떨어진 한국의 합계 출산율의 배경을 이렇게 설명했다. 자신의 돌봄 노동에 경제적 가치가 매겨지지 않는 데 대한 저항으로서 한국의 여성들이 아이 낳기를 거부하기에 이르렀다는 시각이다.
그는 “한국의 젊은 남성들은 장시간 노동이 요구되는 일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 속에 살면서 가정 생활을 값비싼 사치로 여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통 사회에서는 결혼하고 아이를 기르면 자녀가 가정 경제에 기여하고 노년에 부양도 받아 경제적 보상이 이뤄졌지만 현대 한국 남녀에게 결혼과 육아는 비용으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https://v.daum.net/v/20231125080013727
‘돌봄 경제학’ 선구자 “한국 여성은 출산파업 중”
‘돌봄 경제학’ 선구자 “한국 여성은 출산파업 중”
☞ “한국의 젊은 여성들이 무급이고 조건도 열악한 돌봄 노동, 그리고 가정 밖에서의 (사회활동 참여) 기회가 제한되는 데 대한 반발로 일종의 출산 파업(birth strike)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
v.daum.net
돌봄과 연대의 경제학
가부장제 체제의 부상과 쇠락, 이후의 새로운 질서
저자 낸시 폴브레 | 역자 윤자영
출판 에디토리얼 | 2023.10.13.
페이지수 440 | 사이즈 150*220mm
판매가 서적 22,500원
'人文,社會科學 > 人文,社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산율 또 역대 최저… 더 무서운 건 “백약이 무효”라는 체념[사설] (3) | 2023.12.01 |
---|---|
망각의 나무[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323〉 (1) | 2023.11.29 |
친일파였다 ‘김일성 장군님’ 품에 안긴 스타 작사가의 처세술 (2) | 2023.11.18 |
식물도 우리와 교감한다[생명과 공존] (3) | 2023.11.15 |
[사설] 기득권 내려놓고 변화하겠다는 대학들 나오고 있다 (2) | 202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