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학업능력… 高1때 세계 1등, 55세땐 꼴찌권 (출처-조선닷컴 2016.02.18 안석배 기자 박세미 기자) [국제 학업성취도·역량 분석 결과] 20세 이후 역량 떨어지기 시작, 35세부터 OECD 평균 이하로 "초중고때 암기위주 교육하고 질낮은 하위권 대학 늘어난 탓" 직장내 학습 지표도 최하위권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학업 성취도는 세계 최..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6.02.18
[ESSAY] 졸음은 극복해야 할 대상이 아니다 조선일보 : 2016.02.17 05:57 | 수정 : 2016.02.17 05:58 월호 스님·행불선원장 졸음처럼 탐욕·분노도 생리현상 억지로 없애려 하면 부작용 극복하려 하기보다 활용해야 '졸음은 극복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쉬어 가야 할 현상이다.' 얼마 전 한 고속도로 휴게소에 위와 같은 글귀가 걸려 있는 것을..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6.02.18
靑年 법정 曰 "성철 스님 질문 있습니다" 조선일보 2016.02.16. 1967년 녹음된 '백일법문' 도중 성철·법정 스님 問答 내용 50년 만에 책으로 엮어 출간 "이건 멍청해서 묻는 게 아니고요…." 1967년 해인사의 겨울은 뜨거웠다. 그해 해인사 초대 방장에 오른 성철(性徹·1912~1993) 스님의 '백일법문'이 열렸던 것. 전국의 선승(禪僧)들이 해..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6.02.17
갱년기 때문에 힘든데 손주까지… 괴로운 '황혼 육아' 조선일보 : 2016.02.12 17:30 '할마'의 고통을 아시나요 맞벌이 자녀를 대신해 손주를 돌보는 조부모 '할마(할머니+엄마)'가 늘면서 고된 육아와 갱년기 증상이 겹친 중년 여성들의 건강이 나빠지고 있다. 폐경 이후 손주 육아를 담당하는 할마가 늘면서 이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사진=조선..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6.02.15
[신성식의 레츠 고 9988] 위기의 중년 부부…3쌍 중 1쌍 “하루 30분도 대화 안 한다” [중앙일보] 입력 2016.02.12 02:03 출산율 하락과 고령화, 평균 수명 연장 등에 따라 부부만으로 구성된 가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의 장래 가구 추계에 따르면 이런 집이 2010년 267만 가구에서 2035년에는 505만 가구가 된다. 25년 새 ‘부부+자녀’ 가구는 30% 줄고 부부 가구는 90% 늘어난..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6.02.13
[한비야의 길] 나처럼 엉뚱하고 키우기 어려운 딸 있을까 중앙일보 2016-2-6 “우리 딸도 한비야씨처럼 키우고 싶어요.” 어제 했던 특강 후 30대 학부모가 한 말이다. 이럴 때마다 뜨끔하다. 우리 엄마도 그렇게 생각하실까? 나 같은 딸, 두 명은 못 키운다고 하실 게 분명하다. 그렇다. 나는 키우기 어려운 딸이었다. 성격 밝고 심부름 잘하고 사람..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6.02.12
왜 사람은 누군가를 가르치려고 안달할까? 코메디닷컴 2016.02.10. 왜 사람들은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자녀에게 함께 즐기기 보다는 뭔가 가르치려고 안달할까? 오전에 머리를 얹은 골퍼 초보가 오후에 필드에 처음 나가는 골퍼 새내기를 가르치려 들까? 이 물음의 답을 뚱겨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교육은 사람의 유전체에 새겨진 ..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6.02.11
[취재파일] 언론들만 편애하는 그 단어, '유커(遊客)' SBS 2016-2-9 2011년을 전후해 처음으로 '유커(遊客)'라는 말이 일부 신문에서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원래 '여행객'이란 뜻이지만, 국내 한정으로 '중국인 관광객'을 뜻하는 이 말은 지난해부터 사용 빈도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이 말을 사용하는 곳은 거의 대부분 언론입..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6.02.10